카테고리 없음

APV(aseptic process validation) IPC(in process control)

지캣담당자 2023. 12. 21. 13:58
728x90
반응형

📌 APV (Aseptic Process Validation)란?

**Aseptic Process Validation (APV)**는 무균 제제(sterile product) 제조 시, 제조 공정이 제품의 무균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절차입니다.
무균 공정은 완전 멸균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사람이나 설비, 환경에서 오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하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는 밸리데이션이 바로 APV예요.


📌 왜 중요한가요?

  • 무균 공정은 제품이 멸균 후 오염될 위험이 있어, 공정 전체의 무균성을 검증하지 않으면 제품의 품질 보장이 어렵습니다.
  • GMP 규제나 FDA, EU GMP Annex 1 등에서 APV 수행을 의무화하고 있어, 제약 제조사에서는 반드시 실시해야 하는 필수 절차.

📌 APV의 주요 목적

  1. 공정의 무균성 유지 여부 검증
  2. 설비, 환경, 작업자, 절차의 적절성 확인
  3. 위험 요인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
  4. 공정의 반복성재현성 검증

📌 APV 수행 방법

보통 아래 3단계로 나누어 실시합니다.

📌 1. Media Fill (무균시험, 무균공정 시뮬레이션)

  • 실제 제품 대신 배양 배지를 이용해 공정을 그대로 시뮬레이션하고, 이후 배양하여 미생물 오염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
  • 일반적으로 3배치 이상 수행.
  • 배지 종류 : TSB (Tryptic Soy Broth) 등.

📌 2. 환경 모니터링 (Environmental Monitoring)

  • 무균 공정 중 공기, 표면, 작업자 손, 의복, 설비 표면 등의 오염 정도를 air sampler, settle plate, contact plate 등으로 측정.
  • 공정 전/중/후 단계에서 진행.

📌 3. 작업자 및 설비 적격성 평가

  • 작업자 교육 및 실습을 통해 무균 작업 적합성 확인.
  • 설비의 무균성 유지 가능성 및 성능 평가.

📌 APV 수행 기준 (국제 가이드라인)

기관주요 가이드라인
FDA FDA Aseptic Processing Guidance
EU GMP Annex 1: Manufacture of Sterile Medicinal Products
WHO GMP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961, Annex 6
PIC/S PIC/S GMP Guide

📌 APV에서 확인해야 할 항목

  • Clean room 등급 준수 여부 (Grade A, B, C, D)
  • 작업자 gowning 절차 준수 여부
  • Media fill 중 오염 여부 및 리스크 요소
  • 설비 Clean-in-Place (CIP) 및 Sterilize-in-Place (SIP) 성능
  • HEPA 필터 integrity 확인
  • 환경 모니터링 결과가 기준 이내인지

📌 APV의 밸리데이션 주기

  • 초기 validation : 신규 시설, 설비, 공정 도입 시
  • 정기 validation : 일반적으로 6개월~1년마다
  • 변경 validation : 설비 변경, 공정 변경, Layout 변경 시

📌 요약 정리

항목설명
목적 무균 공정의 오염방지와 무균성 확보 검증
방법 Media fill, 환경 모니터링, 작업자/설비 적격성 평가
기준 가이드라인 FDA, EU GMP Annex 1, WHO GMP, PIC/S 등
Validation 주기 초기, 정기, 변경 시 수행

 

📌 IPC (In-Process Control)란?

**In-Process Control (IPC)**은 의약품 제조 공정 중에 제품의 품질과 공정이 설정된 기준에 맞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절차예요.
즉, 최종 제품 시험만으로는 품질을 보장하기 어려우니까, 제조 과정의 각 단계에서 중간 확인을 통해 제품의 품질 일탈을 조기에 발견하고, 문제를 바로잡기 위한 과정입니다.


📌 IPC의 목적

  • 공정 중 제품의 품질 확인
  • 공정 이상 조기 발견 및 조치
  • 일관된 품질 확보
  • 최종 제품 불량률 최소화
  • 규제 기준 및 GMP 준수

📌 IPC가 이루어지는 주요 단계

공정 단계주요 IPC 항목
원료 계량 정확한 원료 투입량, 라벨 확인
혼합 혼합 균일성, 시간, 속도 확인
충전 충전량, 외관, 이물 확인
동결건조 온도, 압력, 시간, 선반 온도 프로파일
포장 라벨 부착 상태, 인쇄 확인, 파손 여부
최종 제품 외관, 용량, pH, 무균 시험

📌 IPC 주요 관리 항목 예시

항목확인 방법/기준
충전량 정해진 중량, 부피 ± 허용 오차
pH 규정된 범위 내 유지
점도 제조 기록 기준 값
혼합 균일성 Sampling 후 분석
외관 검사 이물, 변색, 균열 여부
무균 공정 시 환경 모니터링 Air sampling, settle plate, particle count

📌 IPC가 중요한 이유

  • 제조공정의 이탈이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즉시 대응 가능
  • 최종 제품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
  • 규제기관(FDA, MFDS, EMA, WHO)의 GMP 기준에서 반드시 요구
  • 무균 제품의 경우 특히 중요 (예: Media fill, 환경 모니터링)

📌 IPC 절차

  1. 시험 항목 및 기준 설정
    • 공정별 Critical Parameter 선정
    • 시험 기준과 허용 오차 설정
  2. 시험 및 기록
    • 제조 중 정해진 시점, 빈도에 따라 시험 수행
    • 결과를 제조기록서(BPR)에 기록
  3. 이탈 발생 시 조치
    • Out of Specification (OOS) 발생 시 원인 조사 및 처리
    • 필요 시 제조 중지, 재처리 또는 폐기
  4. 결과 검토 및 배치 승인
    • 최종 IPC 결과가 승인 기준 내일 때만 배치 승인 가능

📌 요약 정리

구분설명
정의 제조공정 중 제품 품질과 공정 상태를 확인·관리하는 절차
목적 불량 방지, 공정 이상 조기발견, 품질 일관성 확보
주요 항목 충전량, 혼합 균일성, pH, 무균성, 환경모니터링 등
수행 시점 제조 전, 중, 후 주요 단계
규제 기준 GMP, PIC/S, FDA, EMA, MFDS 등

 

 

 

https://m.blog.naver.com/swprkf/221964451987

 

[Mfg] In Process Control (IPC)

IPC(In Process Control)는 회사마다 명칭이 다를 수 있지만, 공정 중간에 공정이 어떻게 진행되고 ...

blog.naver.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