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널멸균기 건열멸균기 OQ PQ에 사용하는 고온용 TC센서
TC 센서는 **Thermocouple Sensor (열전대 센서)**를 말해.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중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특히 고온 환경에서 강력한 성능을 보여주는 센서.
🔥 고온용 TC 센서 (Thermocouple Sensor)
📌 기본 원리
- 두 가지 다른 금속을 접합하면, **온도 차이에 의해 전압(기전력)**이 발생함.
- 이 전압을 측정해서 온도를 계산하는 원리.
- 세컨드 로우 방식이 아니라 직접 온도 반응하기 때문에 반응 속도도 빠름.
🧪 고온용 TC 센서의 특징
고온 측정 | 수백도에서 수천 도(최대 2,300°C)까지 측정 가능 |
견고함 | 진동, 열, 압력에 강함 |
빠른 반응 속도 |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 |
단순한 구조 | 유지보수가 쉬움 |
경제성 | 고온 측정 장비 중에서는 비교적 저렴 |
🔧 종류별 측정 온도 범위 (대표적인 고온용 타입)
Type K | Chromel – Alumel | -200 ~ 1,260°C | 가장 널리 사용됨, 고온에 강함 |
Type N | Nicrosil – Nisil | -200 ~ 1,300°C | Type K보다 산화에 더 강함 |
Type R/S | Pt-Rh / Pt | 0 ~ 1,600°C | 고정밀, 고온 측정 (산업/의료용) |
Type B | Pt-Rh (30%/6%) | 0 ~ 1,800°C | 최고온도 측정에 적합 |
Type C | W-Re (Tungsten-Rhenium) | 0 ~ 2,300°C | 진공/우주산업, 초고온 전용 |
🛠️ 사용되는 분야
- 산업로, 용광로 온도 측정
- 반도체 및 금속 가공 산업
- 항공우주, 원자력 발전소
- 의약품 열처리, 멸균기, 오토클레이브
- 배기가스 측정, 터빈 엔진 내부
📎 센서 보호 & 설치 팁
- 보호관 (Protection Tube) 사용: 세라믹, 금속 등으로 TC 센서를 보호
- 보정선 사용: 열전대와 동일한 금속 성질을 가진 보정선을 사용해야 오차 없음
- 차폐 또는 접지 여부: 외부 전자기 간섭이 있을 경우 차폐형 열전대 사용
**건열멸균기(Dry Heat Sterilizer)**에 사용되는 **T타입 열전대 센서 (Type T Thermocouple)**
고온용 센서 중에서도 정확도와 안정성이 중요한 멸균기에 적합한 타입.
🌡️ Type T 열전대 (Thermocouple)
📌 구성 금속
- +극 (양극): 구리(Copper, Cu)
- –극 (음극): 콘스탄탄(Constantan, Cu-Ni 합금)
📌 사용 온도 범위
- 정확도 기준 범위: -200°C ~ 370°C
- 권장 사용 범위: 0°C ~ 350°C
✅ 건열멸균기(일반적으로 160°C ~ 180°C 작동)에서 사용하기 적절한 범위에 속함
✅ Type T의 특징
고정도 | 낮은 온도에서 정확도 매우 높음 (±0.5°C 수준) |
뛰어난 안정성 | 장시간 고온에서도 **드리프트(신호 변화)**가 적음 |
습기에 강함 | 내산화성 우수, 습한 환경에서도 견딤 |
구성 금속이 저렴함 | 경제적인 선택지 |
🔬 건열멸균기에서의 활용
사용 목적
- 멸균기의 균일성 확인 (온도 맵핑)
- 온도 센서 검증 (참조 센서)
- PQ 수행 시 핵심 데이터 수집용
사용 방식
- 센서를 제품 내 위치 또는 챔버 내 대표 지점에 설치
- 일반적으로 5~9개 이상의 센서로 공간 전반의 온도 분포를 모니터링함
- 데이터 로거나 열전대 리더기와 연결해서 실시간 측정
🛠️ 구성 예시 (건열멸균기용)
센서 타입 | Type T 열전대, 노출형 또는 슬리브형 |
케이블 | T타입 전용 보정선 (구리-콘스탄탄) |
커넥터 | 미니 플러그 or 표준 플러그 (색상: 청색) |
기록 장치 | 데이터 로거 (예: Ellab, Kaye, Vaisala 등) |
🧪 정확도 및 오차
Type T | ±1.0°C 또는 ±0.75% (더 큰 값 적용) |
예: 180°C에서 허용 오차는 약 ±1.35°C 정도
📌 왜 건열멸균기에 Type T를 쓰는가?
- **멸균 온도 범위(160~180°C)**에 정확하게 맞는 온도 범위
- 장시간 사용해도 열 변화에 따른 오차 적음
- 미세 온도차 감지 가능 → 챔버 내 균일성 평가에 적합
- 비교적 저렴하고, 내열성/내산화성 좋음
📍 온도 맵핑이란?
건열멸균기 내부의 온도 분포가 일정하고 균일한지 확인하는 과정.
멸균의 유효성 확보 및 냉점(Coldest spot) 위치 파악이 핵심 목적이야.
✅ 온도 맵핑 절차 (Temperature Mapping Procedure)
1. 사전 준비
- 멸균기 내부 완전 비움 상태 또는 실제 로딩 상태에서 수행
- 사용될 센서 수 결정 (일반적으로 9~15개)
- 정기검교정된 TC 센서 및 데이터 로거 준비
상단 | 3개 이상 |
중간 | 3개 이상 |
하단 | 3개 이상 |
중심 또는 냉점 예상 위치 | 1개 이상 추가 |
2. 센서 설치 방법
📌 센서 고정 위치
- 선반 위 또는 내부 트레이에 직접 부착
- 제품 내부 중심부에 설치 (로딩 상태일 경우)
- 중앙, 사각형 네 귀퉁이, 선반별 위치 등 고르게 분산
📌 센서 고정 방식
- 내열 실리콘 테이프, 고정 클립, 세라믹 홀더 사용
- 문에 닿지 않도록, 팬이나 히터 근처는 피함
📌 주의 사항
- 센서가 부유되지 않도록, 고정 필수
- TC 센서 리드선이 문틈에 눌리지 않도록 주의
3. 맵핑 실행
- 멸균 사이클 시작 전 센서 초기화 및 로깅 시작
- 일반적으로 다음 3단계 구간에서 온도 모니터링
- 예열 (Heating phase)
- 멸균 유지 (Dwell phase: 예 160°C에서 2시간)
- 냉각 (Cooling phase)
- 1초~1분 간격으로 측정 데이터 기록 (권장: 10초 간격)
4. 결과 분석
- 온도 분포 균일성 확인
- 유지 시간 동안 ±2.0°C 이내인지 확인 (GMP 기준)
- 최저 온도 지점(Cool Spot) 확인 → 실제 검증 대상
- 시간에 따른 안정성, 빠른 승온/냉각 여부 체크
5. 리포트 작성
- 센서 위치 다이어그램
- Raw Data (CSV or PDF 로그)
- 평균온도, 표준편차, 최대/최소값, 냉점 위치
- 판정 결과 및 맵핑 유효성 판정
🧪 참고 사항
온도 허용 편차 | ±2.0°C 이내 |
멸균 유지 시간 | 160°C 기준 120분 (예시) |
냉점 확인 | 멸균 판정 시 해당 지점 기준 적용 |
🛠️ 추천 장비
TC 센서 | Type T 열전대 (Ø0.5~1mm) |
데이터 로거 | Ellab, Kaye, Vaisala (고온 전용) |
분석 소프트웨어 | ValSuite, Kaye Validator 등 |
🧪 1. 기본 개념 비교
측정 원리 | 두 금속의 접합점에서 기전력(전압) 발생 → 온도 계산 | 온도에 따른 금속의 전기저항 변화 측정 |
출력 방식 | 전압 (mV 단위) | 저항 (Ω 단위) |
구성 소재 | 서로 다른 금속 2종 | 백금(Pt100, Pt1000), 니켈 등 |
대표 모델 | Type K, T, J, N, R, S 등 | Pt100, Pt1000 등 |
🧭 2. 성능 비교
측정 온도 범위 | 매우 넓음 (-200 ~ +2300°C 가능) | 중온범위 적합 (-200 ~ +650°C) |
정확도 | 중간 (±1~2°C 또는 ±0.75%) | 높음 (±0.1~0.3°C 수준) |
응답 속도 | 빠름 | 느림(상대적) |
반복성/안정성 | 장기적 드리프트 있음 | 매우 안정적, 반복성 우수 |
선 길이 오차 | 길어질수록 오차↑ (보정선 필요) | 영향 적음 (선 저항 보정 가능) |
내구성 | 고온/충격/진동에 강함 | 기계적 충격에 약함 |
가격 | 저렴 | 상대적으로 비쌈 |
🧰 3. 용도 및 적용 분야
초고온 공정 | 용광로, 소결로, 항공 엔진 | ❌ 적합하지 않음 |
중온 정밀 측정 | 의약품, 제약 설비, 환경 챔버 | RTD 적합 (GMP/GLP에 최적) |
산업 플랜트 | 배기 온도, 화염 감지 등 | 고온 환경 → TC 유리 |
멸균기/오토클레이브 | 주로 Type T TC 사용 | RTD도 사용 가능 (고정도 필요 시) |
📌 한눈에 요약
🔥 고온에 강한가? | ✅ 매우 강함 (2300°C까지) | ❌ 650°C 제한 |
🎯 정확도가 높은가? | ❌ 중간 수준 | ✅ 매우 정밀 |
⏱️ 반응 속도 빠른가? | ✅ 빠름 | ❌ 상대적 느림 |
💰 가격은? | ✅ 저렴 | ❌ 비쌈 |
⚖️ 장기 안정성은? | ❌ 드리프트 있음 | ✅ 우수함 |
✅ 선택 팁!
정밀 측정, 반복성 중요 | 👉 RTD 센서 (예: Pt100) |
고온, 빠른 반응, 내구성 | 👉 TC 센서 (예: Type K, T) |
GMP 환경 (밸리데이션, PQ 등) | 👉 RTD + TC 병용 가능 (RTD는 기준센서로 사용) |
🔧 1. RTD + TC 병행 사용 구성 예시
📌 사용 목적
- RTD는 기준 센서로 사용 → 높은 정확도 보장
- TC 센서는 공간 분포 측정용 → 다점 온도 맵핑
📦 적용 사례: 건열멸균기 온도 맵핑 (PQ)
중앙 (기준점) | RTD (Pt100) | 기준 온도 측정용 (Master Sensor) |
챔버 내부 분산 위치 | TC (Type T) | 다지점 맵핑용 센서 (9~15개) |
외부 데이터 로거 | RTD/TC 동시 지원 장비 | RTD 1ch + TC 다수ch 입력 가능 |
🔄 RTD 센서로 TC의 측정값을 검증/보정하거나,
📈 RTD 기준값과 TC 센서 값 비교 분석 후 Report 작성
🧪 2. 센서 교정(Calibration) 방법 차이
🔍 RTD 센서 교정
교정 방식 | 고정밀 기준 온도계와 비교 (Dry-block 또는 유체 욕조 사용) |
주요 포인트 | 저항값(Ω) → 온도로 환산 / 1~3점 교정 |
표준기 | SPRT(Standard Platinum Resistance Thermometer) 또는 고정밀 Pt100 |
오차 수준 | ±0.05°C ~ ±0.1°C 수준 |
✅ GMP/GLP 준수 환경에서 기준 센서로 널리 사용됨
🔥 TC 센서 교정
교정 방식 | 기준 열전대 또는 기준 온도계와 mV 신호 비교 |
주요 포인트 | TC 타입별 선형 보정 / 냉접점 보정 필요 |
교정 장비 | Dry-well, 기준 열전대, 정밀 mV 측정기 |
보정선 필수 | 센서부터 로거까지 동일 금속 보정선 사용 필요 |
❗ TC는 환경에 따라 드리프트 크므로, 사용 전/후 정기적 교정 권장
⚖️ 요약 비교표
정확도 | 매우 높음 (±0.1°C 이내 가능) | 중간 수준 (±1~2°C) |
교정 난이도 | 비교적 쉬움 | 냉접점·mV 교정 필요 |
표준기 비용 | 고가 (SPRT 등) | 상대적으로 저렴 |
장기 안정성 | 우수 | 드리프트 발생 가능 |
🛠️ 병행 사용 시 Tip
- RTD는 기준 검증용, TC는 분포 분석용
- 교정된 RTD의 측정값으로 TC의 정확도 검증
- 데이터 로거는 RTD & TC 입력이 가능한 모델 선택 (예: Vaisala, Kaye, Ellab)
- 분석 소프트웨어에서 RTD 값을 기준선으로 삼고 TC 온도 편차 계산
터널멸균기 또는 건열멸균기 OQ PQ에 사용하는 고온용 TC센서입니다.
최대 400도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밸리데이터를 사용하여 바이알의 열분포 열침투 시험을 진행할 때 사용합니다
지캣에서는 Autoclave, 건열멸균기, 터널멸균기 장비에 대한 주기적PQ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주기적으로 TC센서를 교체하여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터널멸균기 테스트 장비 중 PAO Aerosol Photo Meter 2i 보유하고 있습니다
터널멸균기 뿐만 아니라 RABS, BSC, Clean Bench 등의 HEPA Filter의 PAO Test에도 사용합니다
적격성평가 문의는 언제든 편하게 연락주세요!!😁
010-7162-0826
captal@gcat.kr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