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산업에서 **바이알 세척기(Vial Washer)**는 무균 충전 공정 전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바로 바이알(vial) 내부 및 외부의 입자, 유기물, 미생물 등을 제거하여 무균 공정의 시작 지점을 깨끗하게 만들어주는 장비입니다.
💧 Vial 세척기란?
Vial 세척기는 유리 바이알 또는 플라스틱 바이알의 외부와 내부를 고압수, 순수(WFI), 압축공기 등으로 세척 및 건조하는 자동화 설비입니다.
세척 후 바로 멸균기로 이송되며, 청정도 기준 ISO 5 또는 EU Grade A/B 구역에서 작동합니다.
🧱 기본 구성
Infeed System | 컨베이어나 트레이 로더로 바이알 이송 |
Gripper Arm or Indexing Wheel | 바이알을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메커니즘 |
Spray Needles | 바이알 내부에 고압수 및 공기를 분사 |
Washing Chambers | 멀티 스테이지 세척 구역 (1~6단계) |
Drainage System | 사용한 세척수 및 공기 배출 |
Outfeed System | 세척 완료된 바이알을 멸균기로 이송 |
자동화 제어 시스템 | HMI 또는 PLC 기반 세척 순서 제어 |
🌀 세척 방식
대부분의 세척기는 **다단계 방식(Multicycle Washing)**으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세척 순서를 따릅니다:
- Pre-Rinse: 정제수 또는 PW로 1차 세척
- WFI 세척: 멸균수로 본 세척
- 압축공기 분사: 잔류 물 제거
- WFI + 압축공기 병행 세척
- 최종 건조 또는 Drain
- Outfeed 또는 멸균기 이송
🔬 Vial Washer의 핵심 성능
세척 압력 및 시간 | 공정 Validation 기준으로 설정됨 |
사용수 종류 | PW, WFI, 압축공기 (0.2 µm 필터 적용) |
세척 효율 | 입자수 및 미생물 감소 확인 필요 |
생산속도 | 분당 수십 ~ 수백 바이알 처리 |
무균성 유지 | 밀폐구조, ISO 5 또는 Grade A 환경 설계 |
CIP/SIP 가능 여부 | 세정 및 멸균 기능 내장 여부 중요 |
✅ 적격성 평가 항목 (IQ/OQ/PQ)
IQ (설치 적격성) | 장비 사양, 구성, 유틸리티 확인 |
OQ (운전 적격성) | 세척 압력, 시간, 유량, 온도 등 기능시험 |
PQ (성능 적격성) | 바이알 세척 후 입자/미생물 잔류 확인 시험 |
TOC 테스트 | 세척 후 유기물 잔류 여부 확인 |
Endotoxin Test | 열원소(LAL) 오염 여부 검사 (필요 시) |
Depyrogenation 전처리 검증 | 열 멸균 전 오염 최소화 입증 |
📚 관련 가이드라인
EU GMP Annex 1 (2022) | 무균 충전 전에 충분한 세척 요구 |
USP <1072> | 바이알 및 기기 세척 기준 |
PDA TR No. 29 | Parenteral 제조공정 설계 가이드 |
ISO 14644 | 청정도 환경 기준 |
🏭 주요 Vial Washer 제조업체
Steriline | 이탈리아 | 바이알 세척 + 멸균 + 충전 통합 시스템 |
Bausch + Ströbel | 독일 | 고속 정밀 세척 시스템 |
IMA Life | 이탈리아 | RABS/Isolator 연계 세척기 |
Tofflon | 중국 | 세척-멸균 통합 솔루션 |
삼창씨앤에스 | 한국 | GMP 기반 커스터마이징 가능 |
Getinge | 스웨덴 | 바이알 외 다양한 기기 세척기 제조 |
이번에는 **Vial Washer(바이알 세척기)**의 **동작 원리(Operating Principle)**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바이알 세척기의 핵심 목적은 무균 충전 전에 바이알 내부와 외부를 오염 없이 깨끗하게 세척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자동화된 공정이 정교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 Vial Washer 동작 원리 단계별 설명
1️⃣ Vial 적재 및 이송 (Loading & Conveying)
- 바이알을 컨베이어나 로더 시스템을 통해 기계 내부로 자동 공급합니다.
- **인피드 스타휠(Star Wheel)**이나 벨트 시스템이 바이알을 일정 간격으로 정렬합니다.
2️⃣ 바이알 고정 및 반전 (Gripping & Inversion)
- 바이알을 Gripper Arm이나 트랙 시스템이 잡고,
- 내부 세척을 위해 거꾸로(180°) 반전시킵니다. 이로써 내부로 물이나 공기를 주입하기 용이하게 됩니다.
3️⃣ 내부 및 외부 세척 (Internal & External Washing)
- 바이알이 이동하면서 여러 단계의 노즐이 바이알 내부에 삽입되어 고압 분사를 실시합니다.
PW(정제수) 세척 | 이물 및 입자 제거용 1차 세척 |
WFI(주사용수) 세척 | 무균 처리 및 열원소 제거 목적 |
압축공기 분사 | 물기 제거 및 미세입자 제거 |
외부 노즐 분사 | 외면 세척, 오염물 제거 |
노즐은 회전식 또는 고정식이며, 자동적으로 바이알 내부 깊이에 맞춰 삽입/이탈합니다.
4️⃣ Drain & Dry (배수 및 건조)
- 세척이 끝난 바이알은 여전히 거꾸로 있는 상태에서 잔류액이 빠져나가도록 합니다.
- 필요한 경우 압축공기 건조를 추가로 수행합니다.
5️⃣ 정위치 복귀 및 배출 (Re-Inversion & Discharge)
- 세척이 완료된 바이알은 정위치(수직 상태)로 복귀하고,
- **멸균기(Tunnel Sterilizer) 또는 다음 공정(RABS/Isolator 충전 공정)**으로 이송됩니다.
🔄 동작 흐름 요약
Vial Loading → 정렬 및 반전 → 내부/외부 세척 (PW/WFI/Air) → Drain → 정위치 복귀 → 멸균 공정 이송
🛠 사용되는 주요 시스템
PLC 제어 시스템 | 세척 사이클 제어 및 조건 설정 |
터치스크린(HMI) | 작업자 조작 및 모니터링 |
압력/유량 센서 | WFI/PW/공기 흐름 실시간 감지 |
0.2 µm 필터 | 무균 압축공기 공급 보장 |
온도 제어기 | WFI 온도 조절 (필요 시 60~80°C) |
📌 핵심 제어 요소
- 세척 횟수 (Cycle 횟수)
- 노즐 압력 (공기/물)
- 유량(LPM), 시간(sec)
- 사용수 종류 (PW vs WFI)
- 공급 공기의 무균성
⚙️ 실제 세척기 사이클 예시 (6-Stage Washer 기준)
1단계 | PW | 1차 입자 제거 |
2단계 | 압축공기 | 물기 제거 |
3단계 | WFI | 미생물/Endotoxin 제거 |
4단계 | 압축공기 | 건조 |
5단계 | WFI | 최종 헹굼 |
6단계 | 공기 | 완전 건조 후 이송 |
📸 참고 이미지 개념 (설명용)
- 컨베이어로 바이알 진입
- 그리퍼가 잡아 180도 회전
- 스프레이 노즐이 삽입되어 세척
- 공기로 건조 후 정위치 복귀
- 터널 멸균기로 이동
🧪 10mL Vial 세척기 – 동작 원리 요약
🔁 기본 사이클 흐름
- 바이알 자동 적재 (Infeed)
- 바이알 정렬 및 반전 (180° 회전)
- 내부 세척
- 1차 PW
- 압축공기
- WFI 헹굼
- 외부 세척
- 고압 노즐 분사
- 배수 및 건조 (Air Drying)
- 정위치 복귀 → 터널 멸균기로 이송
📐 10mL 바이알용 Washer 설계 고려 요소
바이알 높이 | 약 32~35 mm (10mL 기준) |
구경(목 직경) | 보통 20mm neck (ISO 표준형) |
내부 세척 노즐 깊이 | Vial neck에 맞는 깊이 조정 필요 |
클램핑 포인트 | 작은 크기일수록 정밀 고정이 중요 |
세척 압력 | 보통 2~4 bar (너무 높으면 손상 위험) |
세척 시간 | 내부 각 사이클 약 2~3초 / 단계별 구성 |
건조 시간 | 공기분사 또는 별도 건조기 연결 |
처리속도 | 보통 150~400 vials/min (장비 사양에 따라) |
🛠 사용 매체 및 장비 설정 예
PW | 1차 세척 – 25~40°C |
WFI | 멸균수 – 60~80°C |
압축공기 | 0.2 µm 필터 통과, 무균 유지 |
드레인 처리 | 스테인리스 파이핑 + 자동 밸브 배출 |
✅ 동작 예시: 세척 사이클 구조 (10mL vial 전용)
1단계 | 3초 | PW | 내부 1차 세척 |
2단계 | 1초 | Air | 수분 제거 |
3단계 | 2초 | WFI | 멸균 헹굼 |
4단계 | 2초 | Air | 완전 건조 |
5단계 | 2초 | 외부 PW | 외면 세척 |
6단계 | 1초 | Air | 외부 건조 |
※ 사이클은 PLC를 통해 조정 가능하며, GMP 밸리데이션 요구사항에 따라 WFI 2회 세척 등으로 설정 변경 가능
🔧 실제 적용 가능한 장비 예시
Steriline (이탈리아) | RW Series | 10mL ~ 100mL Vial 자동 전용 |
Tofflon (중국) | GLW Series | 고속 회전식, 멸균기 연동 |
Bausch + Ströbel | KSF 1020 | 모듈형 설계, 세척 + 멸균 연동 |
삼창씨앤에스 (국내) | VW-10 | 2~30mL 범용 바이알 전용 맞춤 제작 가능 |
📌 설치 시 추가 고려사항
- 터널 멸균기와 연동 높이 및 방향 일치
- 세척수 공급 압력 안정성 (PW/WFI loop 연결)
- 내부 노즐 깊이 및 고정 구조, 자동 Clean-in-Place (CIP) 옵션 여부
- 입자수/미생물 잔류 확인을 위한 PQ 시험 수행 필요
Vial Washer는 GMP 기준 및 EU GMP Annex 1 (2022), ISO 14644 기준에 따라 고도 청정 및 무균 상태 유지가 필수입니다.
💉 무균 충전용 10mL Vial Washer – 요건 및 동작 개요
📌 목적
무균 충전 전 단계에서 10mL 바이알을 완전 자동화된 공정으로 세척하여 입자, 미생물, 열원소(Endotoxin) 등 오염원을 최소화/제거합니다.
🧪 핵심 요건 요약
청정도 등급 | 내부: ISO 5 / EU Grade A 환경 유지 |
세척수 | PW + WFI (최종 세척은 반드시 WFI) |
공기 | 압축공기(0.2 μm 필터 무균 보증 필수) |
멸균 연계 | 세척 후 즉시 터널 멸균기 연결 (Depyrogenation Oven) |
작업자 접촉 | 없음 (Fully Closed System) |
공정 검증 | IQ/OQ/PQ + TOC, Endotoxin 시험 수행 |
🌀 동작 원리 – 무균 충전용 전용 Vial Washer
1. 바이알 투입 → 2. 반전 고정 →
3. 내부 PW/WFI 세척 → 4. 외부 세척 →
5. 압축공기 건조 → 6. 정위치 복귀 →
7. 터널 멸균기로 이송
🧼 세척 매체 및 방식
1차 내부 세척 | PW | 입자 및 잔여 이물 제거 |
중간 세척 | 공기 + PW 교대 | 물기 제거, 세척 촉진 |
최종 헹굼 | WFI (60~80°C) | 무균 세척, Pyrogen 제거 |
외부 세척 | PW + WFI or 외부 노즐 | 라벨부 오염 제거 |
건조 | 압축공기 (Filtered) | 수분 제거 및 터널 멸균 전 이송 |
✅ 적격성평가 (IQ/OQ/PQ) 항목
IQ (Installation Qualification)
- 유틸리티 확인 (WFI, 공기, 전기)
- 장비 매뉴얼, 부품, 배관 점검
OQ (Operational Qualification)
- 유량, 압력, 시간 설정값 확인
- 각 노즐 작동/동기화 테스트
- 알람 기능, HMI 반응 속도
PQ (Performance Qualification)
- 세척된 Vial을 샘플링하여 다음 수행:
미생물 생존 시험 | 생균수 0 또는 기준 이하 |
TOC (총 유기탄소) | < 500 ppb (WFI 기준 내) |
Endotoxin (LAL 시험) | < 0.25 EU/mL |
입자 수 (≥0.5μm) | ISO 5 기준 만족 |
각 시험은 3회 반복성 시험(Retest) 수행하여 데이터 일관성 확인
🏭 추천 장비/제조사
Steriline | RW Series | WFI + 공기 세척, RABS/Isolator 연동 |
IMA Life | RA-V | Vial 전용 + 멸균 터널 연계 최적 |
Tofflon | GLW Series | WFI Loop 연계 가능, 고속 세척 |
Bausch + Ströbel | KSF | IQ/OQ 지원 시스템 완비 |
삼창씨앤에스 (국내) | VW-10 | GMP + EU Annex 1 기준 대응 가능, 국내 밸리데이션 서비스 |
📎 가이드라인 기준 요약
EU GMP Annex 1 (2022) | 무균 충전 전 반드시 세척 + 멸균 수행, 무균 보증수준 강조 |
USP <1072> | 세척기 및 세척제에 대한 기준 가이드 |
ISO 14644-1 | 입자농도 기준 (ISO 5 기준) |
FDA Aseptic Guidance | 세척 + 멸균 사이의 무균 연결(Closed Process) 강조 |
지캣 GMP 컨설팅 및 밸리데이션
www.gmpcat.com
'# GMP 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알 충전기(Aseptic Vial Filler) (0) | 2025.04.24 |
---|---|
엔도톡신 챌린지 시험(Endotoxin Challenge Test) (0) | 2025.04.24 |
RABS vs ISOLATOR(아이솔레이터) (0) | 2025.04.24 |
제약 클린부스(Clean Booth) (0) | 2025.04.24 |
미립구 제조장치(Microsphere Processor)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