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움이 되는 자료

터널멸균기 열분포시험과 열침투시험

728x90
반응형

🔶 1. 열분포시험 (Heat Distribution Test, HDT)

📌 목적:

  • 터널멸균기 내에서 열이 균일하게 분포되는지를 평가.
  • 병이 없는 조건(no load)에서 수행되며, 가장 차가운 위치(cold spot)를 파악하기 위한 시험입니다.

✅ 허용기준 (Acceptance Criteria):

  • 각 지점 간 온도 차이가 너무 크지 않아야 함.
  • 일반적으로 ±2.0°C 이내의 온도 차이 허용 (규정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안정화 시간이 일정하고, 설정한 목표온도(예: 320°C)에 도달한 후 유지되는지 확인.

📚 가이드라인:

  • WHO TRS 961, Annex 6 또는 EU GMP Annex 1, PDA Technical Report 1 등을 참조.
  • 최소 9개 이상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터널 내 다양한 위치를 측정.

🔶 2. 열침투시험 (Heat Penetration Test, HPT)

📌 목적:

  • 실제 제품이 터널을 통과할 때 내부까지 적절히 가열되어 멸균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평가.
  • 병 안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내부 열침투 정도 확인.

✅ 허용기준:

  • 제품의 가장 차가운 위치(cold spot)의 온도 프로파일이 설정된 멸균조건을 충족해야 함.
  • Fh값 또는 equivalent exposure time이 기준값을 만족해야 함.

📚 가이드라인:

  • 실제 사용 조건과 동일한 설정으로 시험 수행.
  • 다양한 위치(앞, 중간, 뒤 병들)에서 테스트.

🔷 3. Fh값이란?

📌 정의:

  • **Fh (Fo의 건열 멸균 버전)**는 건열 멸균에서 멸균 효과를 시간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 기준온도 170°C에서의 등가 멸균시간을 나타냅니다.

📘 계산식:

✅ 예시 기준:

  • 대부분 멸균 validation에서는 Fh ≥ 30분 또는 특정 미생물 사멸 기준을 만족해야 함.

✅ 요약표

항목열분포시험 (HDT)열침투시험 (HPT)
목적 터널 내부 온도 균일성 평가 제품 내부 온도 상승 및 멸균 확인
센서 위치 터널 내 다양한 위치 제품 병 내부
시험 조건 빈 병 혹은 무부하 상태 실제 제품 조건
허용기준 ±2°C 이내 Fh ≥ 기준값 (예: 30분)
가이드라인 WHO TRS 961, PDA TR 1 등 WHO, PDA, EU GMP 등 참조

 

 

열분포시험(Heat Distribution Test, HDT)과 열침투시험(Heat Penetration Test, HPT)은 멸균 공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필수적인 절차입니다. 이러한 시험에 대한 국제 가이드라인은 주로 WHO TRS 961, PDA Technical Report No.1, EU GMP Annex 1 등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 열분포시험 (Heat Distribution Test, HDT)

📘 EU GMP Annex 1 원문 발췌:

"Critical process parameters that should be considered during validation and/or routine processing should include, but may not be limited to:
iv. Heat distribution/uniformity."

📘 번역:

"밸리데이션 및/또는 일상적인 공정 중에 고려해야 할 주요 공정 매개변수에는 다음이 포함되며, 이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 요약:

  • 터널멸균기 내부의 온도 분포가 균일한지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위치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측정합니다.
  • 온도 분포의 균일성은 멸균 공정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합니다.

🔶 열침투시험 (Heat Penetration Test, HPT)

📘 EU GMP Annex 1 원문 발췌:

"Critical process parameters that should be considered during validation and/or routine processing should include, but may not be limited to:
iii. Heat penetration of the material/article."

📘 번역:

"밸리데이션 및/또는 일상적인 공정 중에 고려해야 할 주요 공정 매개변수에는 다음이 포함되며, 이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iii. 자재/제품에 대한 열 침투."

📌 요약:

  • 실제 제품 내부에 온도 센서를 삽입하여 멸균 공정 중 열이 제품 내부까지 충분히 침투하는지를 평가합니다.
  • 제품의 가장 열이 도달하기 어려운 위치(cold spot)에서의 온도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멸균의 유효성을 검증합니다.

🔷 Fh 값에 대한 가이드라인

📘 EU GMP Annex 1 원문 발췌:

"When a thermal depyrogenation process is used for any component or product contact equipment, validation studies should be performed to demonstrate that the process provides a suitable Fh value and results in a minimum 3 log reduction in endotoxins concentration."

📘 번역:

"어떤 부품이나 제품 접촉 장비에 열 탈피로겐화 공정이 사용되는 경우, 해당 공정이 적절한 Fh 값을 제공하고 엔도톡신 농도에서 최소 3 로그 감소를 초래함을 입증하는 밸리데이션 연구를 수행해야 합니다."

📌 요약:

  • Fh 값은 건열 멸균 공정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준 온도(예: 170°C)에서의 등가 멸균 시간을 의미합니다.
  • 밸리데이션 시, 엔도톡신 농도의 최소 3 로그 감소를 달성해야 하며, 이를 통해 멸균 공정의 효과를 입증할 수 있습니다.

🔗 원문 가이드라인 링크

  1. WHO TRS 961, Annex 6
    세계보건기구(WHO)의 멸균 의약품 제조에 관한 우수 제조관리기준(GMP)을 다룬 문서입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 PDA Technical Report No.1
    Parenteral Drug Association(PDA)에서 발행한 습열 멸균 공정의 밸리데이션에 관한 기술 보고서입니다.
    Default
  3. EU GMP Annex 1
    유럽연합(EU)의 멸균 의약품 제조에 관한 우수 제조관리기준(GMP) 부속서입니다.
    Public Health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