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MP Annex 1 (EU GMP - Annex 1: Manufacture of Sterile Medicinal Products)
Annex 1은 EU의 GMP 규정 중 멸균 의약품 제조에 관한 가이드라인입니다.
2022년에 대대적으로 개정되어, 동결건조와 같은 무균 공정 관리에 대한 요구사항도 훨씬 구체적이고 엄격해졌습니다.
동결건조 관련 주요 포인트:
- 무균 보증(Aseptic assurance): 동결건조 과정은 무균 공정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최소한의 오염 리스크를 보장해야 합니다.
- 동결건조기 설계:
- CIP (Clean-in-Place) 및 SIP (Sterilize-in-Place) 기능이 있어야 함.
- 도어 씰(seal), 배기구(exhaust), 트레이 모두 멸균이 보장돼야 함.
- 충진(Filling) 및 밀봉(Sealing):
- 바이알이 동결건조기로 로딩되기 전/후 공정 흐름이 무균성을 보장해야 함.
- 밀봉(sealing)은 가능한 한 무균 구역 내에서 이뤄져야 함.
- 공정 시뮬레이션(Process Simulation Test, Media Fill):
- 동결건조가 포함된 Media Fill이 별도로 수행되어야 함.
- 실제 공정처럼 바이알을 채우고, 동결건조 및 밀봉까지 포함해야 함.
- 모니터링:
- 온도, 압력, 시간에 대한 정밀한 공정 모니터링 필수.
- 공정 중 환경 모니터링(viable/non-viable particle monitoring) 수행.
- 공정 밸리데이션:
- 적격성 평가 (IQ/OQ/PQ) 및 정기적인 재확인(requalification)이 필요.
- 특히 "누수 시험(Leak test)", "CIP/SIP 밸리데이션"이 중요.
2. FDA 가이드라인 (Lyophilization 관련)
FDA는 별도의 동결건조 전용 가이드라인을 내놓지는 않았지만, 여러 문서에서 관련 사항을 다룹니다.
특히 중요한 문서는:
- FDA Guidance for Industry: Sterile Drug Products Produced by Aseptic Processing – 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2004)
- FDA Warning Letters 및 483 Observations (실제 실사 시 이슈된 사례들)
주요 실사 포인트:
- 공정 설계(Process Design):
- 제품 개발 시 동결건조 사이클(프리징, 1차 건조, 2차 건조) 개발 및 최적화 필요.
- 동결건조기 관리:
- 장비 적격성(Installation Qualification, Operational Qualification, Performance Qualification)을 문서화할 것.
- 동결건조기 진공 시스템, 컨덴서(콘덴서) 성능 검증.
- 무균성 보장:
- 로딩과 언로딩이 무균 조건 하에 수행되는지 점검.
- 자동화 로딩/언로딩 시스템(RABS, Isolator)이 권장됨.
- 제품 품질 모니터링:
- 바이알 내 잔류 수분(Residual Moisture) 테스트.
- 밀봉 무결성 시험(Container Closure Integrity Test, CCIT) 수행.
- 공정 모니터링:
- 챔버 온도, 압력 기록.
- 예상치 못한 deviation(이탈)이 발생했을 경우 CAPA(Corrective and Preventive Action) 적절성 확인.
요약
GMP Annex 1 | 무균 공정 보장, 동결건조기 SIP/CIP, Media Fill에 동결건조 포함, 환경 모니터링 강화 |
FDA 가이드 | 공정 개발, 장비 적격성 평가, 무균 충전과 밀봉 보장, 공정 및 제품 모니터링 강화 |
📄 FDA 483 동결건조 관련 주요 사례 요약
(※ FDA Form 483: 실사 중 발견된 GMP 위반 사항 통지서)
1. 동결건조기 청소 및 멸균 실패
- 문제: 동결건조기의 SIP 프로그램이 불완전해서, 챔버 내부 전체 멸균이 입증되지 않음.
- 결과: 제품 오염 가능성 지적, 공정 재검토 및 재발 방지 조치 요구.
2. 무균 충전(Loading/Unloading) 절차 미흡
- 문제: 바이알을 동결건조기에 로딩할 때, 외부 노출 위험 존재.
- 결과: 무균 공정 설계 수정, Loading/Unloading 자동화 권고.
3. Leak Test 부적합
- 문제: 동결건조 완료 후 바이알의 밀봉 무결성 시험이 미흡하거나 누락.
- 결과: 제품 무균성에 대한 보증 실패로 리콜 가능성 경고.
4. 사이클 밸리데이션 부족
- 문제: 프리징, 주요 건조 단계 조건(온도, 압력)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로 제품 생산.
- 결과: 동결건조 프로세스의 재밸리데이션 요구.
5. 모니터링 시스템 불충분
- 문제: 공정 중 챔버 온도, 압력 데이터 로깅이 불충분하거나 기록 누락.
- 결과: 데이터 인테그리티(Data Integrity) 위반으로 심각한 지적.
📋 GMP Annex 1 (2022) 기반 동결건조 공정 Check List
(Annex 1을 기준으로 실사나 셀프 점검 시 사용할 수 있게 짰어요.)
설계 및 구조 | 동결건조기는 CIP/SIP 기능을 갖추었는가? |
도어 씰, 트레이, 배기구까지 멸균 가능하게 설계되었는가? | |
공정 관리 | 바이알 로딩 및 언로딩이 무균 공정 하에 이루어지는가? |
밀봉은 무균 구역 내에서 완료되는가? | |
공정 모니터링 | 동결건조 중 온도, 압력, 시간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기록되고 있는가? |
챔버 내부 환경(viable/non-viable particles) 모니터링 시스템이 존재하는가? | |
밸리데이션 및 재확인 | 동결건조 사이클에 대해 IQ/OQ/PQ가 완료되었는가? |
Media Fill 시나리오에 동결건조 과정이 포함되었는가? | |
Leak Test 및 Container Closure Integrity Test (CCIT)가 수행되고 있는가? | |
데이터 인테그리티 | 공정 데이터가 전자 기록으로 보존되며 변경 이력이 추적 가능한가? |
훈련 및 SOP | 관련 작업자가 정기적으로 무균 조작 및 장비 운용 교육을 받고 있는가? |
SOP(표준작업지침서)가 실제 작업과 일치하는가? |
정리해서 한마디
👉 "FDA는 실제 공정 운영 문제를 많이 잡고, Annex 1은 사전 설계/시스템/거버넌스를 엄청 강조한다"
둘 다 대비하려면 장비 적격성 + 무균 보증 + 공정 모니터링을 3대 포인트로 보셔야 합니다.
🌡️ 동결건조(Lyophilization) 사이클 개발 및 최적화 방법
목표:
제품 품질(특히 무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공정 시간은 최소화, 에너지 소모는 최적화하는 것.
1. 제품 특성 분석 (Pre-formulation Study)
-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 제품이 얼었을 때 가장 약해지는 온도.
- 이 온도 이상에서는 제품이 구조적으로 무너지기 쉽다.
- Collapse Temperature (Tc)
- 제품 구조가 실제로 붕괴되는 온도.
- Eutectic Temperature (Te)
- 순수 결정화가 일어나는 최소 온도.
[중요]
1차 건조 중 온도가 Tg'나 Tc보다 높으면 제품 collapse!
2. 사이클 기본 구성
동결건조는 크게 4단계로 구분됩니다:
프리징 (Freezing) | 제품을 완전히 얼림 | 얼음 결정 형성, 구조 안정화 |
1차 건조 (Primary Drying) | 얼음 승화 제거 (진공 상태) | 대부분 수분 제거 |
2차 건조 (Secondary Drying) | 흡착된 물 제거 (온도 상승) | 최종 잔류 수분 최소화 |
쿨링 (Cooling) | 최종 온도 안정화 | 바이알 밀봉 준비 |
3. 각 단계별 최적화 방법
🧊 프리징 (Freezing)
- 서서히 냉각하면 큰 얼음 결정 → 승화가 쉬워짐.
- 너무 빠른 냉각 → 미세 얼음 결정 → 승화 시간 증가.
- 일반적으로 -40°C ~ -50°C 이하까지 냉각.
✅ Tip: "Controlled Nucleation" 기술 활용 가능 (균일한 얼음 형성)
💨 1차 건조 (Primary Drying)
- 챔버 압력을 낮추고, 선반 온도(shelf temperature)를 조심스럽게 올림.
- 선반 온도는 Tg' 또는 Tc보다 약간 낮게 설정.
- 압력은 승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최적 압력 (예: 100~200 mTorr) 유지.
✅ Tip: Product Temperature (Tp)를 실시간 모니터링해서 collapse 방지.
🔥 2차 건조 (Secondary Drying)
- 선반 온도를 점진적으로 높임 (보통 +30°C ~ +50°C).
- 제품 내 "흡착된 수분(bound water)"을 제거.
- 최종 잔류 수분 목표: 통상 1% 이하 (제품에 따라 다름).
✅ Tip: 너무 빠른 가열은 제품 변성을 일으킬 수 있음 → Ramp-up 속도 조절 필요.
🧊 쿨링 및 밀봉 (Cooling and Sealing)
- 완전 건조 후, 밀봉 전 약간 냉각 (-20°C ~ 25°C).
- 바이알 밀봉은 무균 구역에서 바로 진행.
✅ Tip: 챔버 내 진공 하에서 "Stopper Insertion"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
4. 사이클 최적화 접근법
공정 모니터링 강화 | Tp (Product Temp) 센서, 챔버 압력 모니터링 |
DoE (실험 설계) | 다양한 선반 온도/압력 조합 테스트 |
PAT 도구 활용 | Tunable Diode Laser Absorption Spectroscopy (TDLAS)로 승화 속도 측정 |
공정 단순화 | 불필요한 프리징 시간, 과도한 2차 건조 줄이기 |
5. 사이클 개발 Flowchart (한눈에 보기)
[제품 특성 분석]
↓
[Freezing 최적화]
↓
[1차 건조 조건 설정]
(Tg'/Tc 기반, 승화 속도 측정)
↓
[2차 건조 조건 설정]
(잔류 수분 목표 기준)
↓
[파일럿 사이클 실행 및 모니터링]
↓
[사이클 수정 및 최적화]
↓
[상업화 및 밸리데이션]
✨ 추가 꿀팁
- "Fast Screening" 방법으로 여러 조건을 빠르게 실험할 수 있음.
- 제품 손상 없이 사이클 시간을 줄이는 게 최종 목표.
- 개발 사이클과 실제 제조 사이클 간 차이를 최소화해야 실사 시 문제 없음.
💧 물의 삼중점이란?
삼중점이란,
"물질의 고체, 액체, 기체 세 가지 상(phase)이 동시에 평형을 이루는 특정한 온도와 압력" 을 말합니다.
물에 대해 말하면:
- 온도: 0.01°C (섭씨)
- 압력: 611.657 Pa (약 6.11657 mbar)
이 특정한 조건에서는,
물(액체) + 얼음(고체) + 수증기(기체) 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어요.
🌎 삼중점이 왜 중요할까?
- 기본 표준 (기준점) 역할:
- 과거에는 삼중점이 "섭씨 온도 정의"의 기준이었어요.
(지금은 켈빈 재정의가 됐지만, 삼중점은 여전히 중요!)
- 과거에는 삼중점이 "섭씨 온도 정의"의 기준이었어요.
- 과학 실험 / 장비 교정:
- 온도계 정확도 검증할 때 삼중점 셀(Triple Point Cell)을 사용합니다.
- 동결건조(Lyophilization)와 관련:
- 동결건조기(lyophilizer)는 물의 삼중점보다 낮은 압력(예: 100~200 mTorr)에서 작동합니다.
- 삼중점 이하 압력에서는 액체 없이 직접 고체 → 기체로 승화(sublimation)가 일어나기 때문에, 동결건조가 가능해집니다.
📈 간단한 도표로 보면:
기체
|
| /
| /
| /
고체 -------●------ 액체
(삼중점)
🧠 정리 한 줄 요약:
👉 "물의 삼중점은 0.01°C, 611.657 Pa에서 고체·액체·기체가 모두 공존하는 특별한 상태" 입니다.
🔥 삼중점과 승화 곡선의 관계
삼중점(Triple Point) 은 고체-액체-기체가 모두 공존하는 점이죠.
이 삼중점을 기준으로,
"승화 곡선 (Sublimation Curve)" 이란 고체와 기체가 직접 변환되는 경계선을 의미합니다.
즉,
삼중점은 승화 곡선이 시작되는 "출발점"이에요!
📈 상태도(Phase Diagram)로 보면:
압력
↑
│ 기체
│ /
│ /
│ / ← 증발 곡선 (액체-기체)
│ /
│ ● ← 삼중점 (0.01°C, 611.657Pa)
│ /|
│ / | ← 승화 곡선 (고체-기체)
│ / |
│/ |
└────────────→ 온도
고체 액체
- 왼쪽 곡선: 고체 ↔ 기체 (승화 / 기화)
- 오른쪽 곡선: 액체 ↔ 기체 (증발 / 응축)
- 아래: 고체 ↔ 액체 (융해 / 응고)
✅ 삼중점(●)을 지나면서, 압력이 낮아지면 고체가 액체를 거치지 않고 기체로 승화하게 됩니다.
🧠 정리하면:
삼중점 | 고체-액체-기체가 공존하는 유일한 점 (0.01°C, 611.657 Pa) |
승화 곡선 | 삼중점 이하 압력에서 고체와 기체 사이의 경계 |
승화(Sublimation) | 압력이 삼중점보다 낮고, 온도에 따라 고체 → 기체로 바로 변하는 과정 |
🎯 실용적인 포인트 (동결건조 연결)
- 동결건조 공정에서는
챔버 압력을 삼중점 압력(611 Pa)보다 낮게 만들어야만
얼음이 녹지 않고 바로 수증기로 승화합니다.
즉:
- 압력 > 삼중점 → 얼음이 녹아 물이 됨 (실패!)
- 압력 < 삼중점 → 얼음이 바로 증발(승화) (성공!)
➡️ 그래서 동결건조기에서는 100~200 mTorr 수준(약 13~26 Pa) 압력까지 낮춥니다.
✨ 한 줄 요약
👉 "삼중점은 승화 곡선의 출발점이고, 승화는 삼중점 이하 압력에서만 가능하다."
💨 동결건조 공정에서 **승화 속도(sublimation rate)**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
승화 속도는 결국
"얼음이 얼마나 빠르게 수증기로 변해서 빠져나가느냐"
를 의미합니다.
1. 제품 온도 (Product Temperature, Tp)
- 핵심:
제품의 실제 온도가 높을수록 승화 속도는 빨라집니다. - 그러나 주의할 점:
- 온도가 Tg' 또는 Collapse Temperature (Tc) 이상 올라가면 제품 붕괴(Collapse) 가 일어날 수 있음!
✅ 요약:
제품 온도는 가능한 한 높게, 그러나 붕괴 온도 이하는 지켜야 한다.
2. 챔버 압력 (Chamber Pressure)
- 압력을 낮추면 물질이 더 쉽게 승화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압력이 너무 낮으면 승화가 오히려 느려질 수 있어요! (기체 분자 수가 너무 적어져서 전달 효율 저하)
✅ 요약:
압력은 최적 범위(보통 100~200 mTorr)를 유지하는 것이 승화에 가장 좋다.
3. 열전달 (Heat Transfer)
- 승화에는 열이 필요합니다 (얼음 → 수증기로 전환하려면 승화열 필요).
- 선반(Shelf)에서 바이알로 공급되는 열량이 충분해야 승화가 빠릅니다.
- 열전달이 부족하면 승화 속도가 느려지고, 제품이 오래 얼어있게 됩니다.
✅ 요약:
열 공급을 적절히 해서 승화에 필요한 에너지를 충분히 줘야 한다.
4. 건조층 두께 (Dried Layer Thickness)
- 얼음이 승화하면서 바이알 상부에 **건조층(dried cake)**이 생깁니다.
- 건조층이 두꺼워질수록 기체가 빠져나가기 어렵고, 승화 속도는 느려집니다.
✅ 요약:
건조층은 처음에는 얇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승화 저항이 커진다.
5. 얼음 결정 크기 (Ice Crystal Size)
- 얼음 결정이 크면 : 건조 후 남는 기공(pore)이 커져서 기체가 잘 빠져나갑니다 → 승화 속도 빠름
- 얼음 결정이 작으면 : 기공이 작아져서 기체가 막힙니다 → 승화 속도 느림
✅ 요약:
프리징 단계에서 천천히 냉각하면 크고 좋은 얼음 결정이 생긴다.
6. 바이알 및 배치 조건
- 바이알 크기, 배열, 접촉면 적정성 등도 영향을 줍니다.
- 바이알과 선반 간 열전달 불균형이 심하면, 승화 속도 차이가 나서 제품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음.
✅ 요약:
바이알 세팅도 균일성 확보에 중요하다.
🎯 승화 속도 최적화 요약표
제품 온도 | 온도가 높을수록 빠름 | Collapse 온도 이하로 최대한 높이기 |
챔버 압력 | 적정 압력에서 빠름 | 너무 높거나 너무 낮지 않게 |
열전달 | 열이 많을수록 빠름 | 선반 온도 최적 설정 |
건조층 두께 | 두꺼울수록 느림 | 초기 승화 속도 확보 중요 |
얼음 결정 크기 | 클수록 빠름 | Controlled Freezing 고려 |
바이알 세팅 | 균일성 확보 중요 | Batch uniformity 확보 |
🧠 한 줄 요약
👉 "승화 속도는 온도, 압력, 열, 건조층, 얼음 크기, 바이알 조건에 의해 좌우된다."
📋 물(Water) 승화 온도와 압력 표
-100°C | ~0.01 Pa | 고체 → 기체 (승화) | 초고진공 상태 |
-80°C | ~0.1 Pa | 고체 → 기체 (승화) | Dry Ice(드라이아이스) 비슷한 조건 |
-50°C | ~1 Pa | 고체 → 기체 (승화) | 동결건조기 초반 단계 |
-20°C | ~10 Pa | 고체 → 기체 (승화) | 승화 활발 |
0°C (녹는점) | 611.657 Pa (6.11657 mbar) | 삼중점 (고체/액체/기체 공존) | 압력이 높으면 녹음 |
+10°C 이상 | >1000 Pa | 주로 액체상 존재 | 승화 X, 액체 → 기체 (증발) |
🎯 핵심 포인트 요약
- 압력이 삼중점(611 Pa) 보다 낮을 때만 승화가 일어남!
- 온도가 높아질수록 승화속도는 증가하지만, 너무 높으면 제품 붕괴(collapse) 가능성 있음.
- 동결건조는 일반적으로 -40°C ~ -10°C 온도, 100
200 mTorr (약 1326 Pa) 압력대에서 승화 진행.
🌟 동결건조 실제 적용 범위 (실용적 예시)
1차 건조 (Primary Drying) | -40°C ~ -20°C | 100 |
2차 건조 (Secondary Drying) | +20°C ~ +40°C | 50 |
🧠 추가 설명
- 승화는 압력과 온도의 복합 작용으로 진행됩니다.
- 압력이 높아지면 : 고체가 녹아 액체로 변함 → 승화 안 됨.
- 압력이 낮아야만 : 고체가 액체 없이 바로 기체로 승화함.
그래서 동결건조기에서는 항상 챔버 압력을 삼중점 이하로 맞추고,
제품 온도도 Collapse 온도 이하로 조심스럽게 관리하는 겁니다.
지캣 GMP 컨설팅 및 밸리데이션
www.gmpcat.com
'# GMP 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터링 펌프(POMPETRAVAINI Liquid Ring Vacuum Pump) (0) | 2025.05.07 |
---|---|
오비탈 용접(Orbital Welding) CIP SIP 배관 (0) | 2025.05.07 |
바이알 그리고 고무마개(Vial & Stopper) (0) | 2025.04.28 |
동결건조기에 사용되는 WinCC HMI (0) | 2025.04.28 |
동결건조기에 SIEMENS PLC를 사용하는 이유 (0)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