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GMP 자료 🐤

멸균기(Autoclave)

📦 제약용 Autoclave란?

고온의 포화증기(Saturated Steam) 또는 과열수(Superheated Water)를 이용해
설비, 기구, 의약품 원료, 주사제 앰플, 바이알 등을 고압 상태에서 멸균하는 설비


📑 Autoclave 동작 원리

1️⃣ 챔버 적재

  • 멸균할 제품이나 기구 적재
  • 제품 종류에 따라 Basket, Tray, Cart 적재

2️⃣ 챔버 밀폐

  • 도어 닫고 진공 및 증기 주입 준비

3️⃣ 예비진공 (Pre-vacuum)

  • 챔버 내 공기 제거 → 증기 침투성 향상
  • 진공펌프 이용해 2~3회 반복

4️⃣ 멸균온도 상승

  • 포화증기 주입 → 챔버 내 온도·압력 상승
  • 일반적으로 121℃(15분), 134℃(3~5분) 등 공정 설정

5️⃣ 멸균 유지 (Holding time)

  • 설정온도 도달 후 일정 시간 유지
  • 포화증기 상태에서 멸균 진행

6️⃣ 배기 및 건조

  • 증기 배출 후 진공 또는 공기 주입
  • 내부 건조 (Drying cycle 진행 가능)

7️⃣ 제품 인출 및 기록 저장


📊 Autoclave 종류

구분특징용도
Gravity Type 챔버 상부에서 증기 주입, 하부 공기 배출 단순 기구, 비밀폐 용기 멸균
Pre-vacuum Type 진공펌프 사용해 공기 제거 후 증기 주입 바이알, 앰플, 공기장벽 필요한 제품
Steam-Air Mixture Type 증기+공기 혼합 압력 제어 밀폐용기(IV bag, PFS) 멸균
Superheated Water Spray Type 가압수 순환 및 분사 멸균 플라스틱용기, PVC Bag

📋 Validation 항목

📖 DQ (설계적격성)

  • URS, P&ID, 재질증명(MOC), 용량 확인

📖 IQ (설치적격성)

  • 설비 설치 상태, 배관, 인터록, 컨트롤러 확인

📖 OQ (운전적격성)

  • 공회전 시험 (Empty cycle)
  • 온도분포시험 (Temperature mapping)
  • 생물학적지시제(BI, Biological indicator) 시험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스포어 사용
    → 기준: 6 log reduction 이상

📖 PQ (성능적격성)

  • 제품 적재 상태에서 BI 시험
  • 각 위치에서 BI 사멸 여부 확인
  • 반복 3회 수행

📌 참고 기준

  • PIC/S GMP Guide
  • EU GMP Annex 15
  • 식약처 멸균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
  • ISO 17665 (포화증기멸균 Validation 국제표준)

📊 멸균 조건 예시

구분온도시간압력
일반 멸균 121℃ 15분 2.0 bar
Flash 멸균 134℃ 3~5분 3.0 bar
PFS 멸균 121~125℃ 30~60분 2.1~2.3 bar

 

 

**Autoclave (멸균기)**의 동작 원리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할게요. 제약 공정에서 중요한 멸균 과정이기 때문에 각 단계마다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Autoclave 동작 원리 - 상세 설명

1️⃣ 챔버 적재

  • 제품: 멸균할 의약품(주사제, 앰플, 바이알 등) 또는 실험 기구(기구, 용기 등)를 챔버에 적재합니다.
  • 배치 방식: 제품은 보통 트레이, 바스켓 또는 카트에 적재되며, 효율적인 증기 순환을 위해 고르게 배치해야 합니다.
  • 중요 포인트: 제품은 고르게 배열되어야 하며, 밀폐된 용기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는 증기와 열이 제품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보장합니다.

2️⃣ 챔버 밀폐 및 준비

  • 도어 밀폐: 챔버 도어를 밀폐하고, 진공 펌프 또는 증기 주입을 위한 준비를 합니다.
  • 공기 제거 (Pre-vacuum): 공기 제거가 필요한 경우, 챔버 내부에서 진공을 형성하여 공기를 빼냅니다.
    • 진공 상태에서 증기가 더 빠르고 고르게 전달되기 때문에 멸균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 보통 2~3회의 예비 진공 사이클이 필요합니다.

3️⃣ 진공 또는 증기 주입 (Pre-vacuum 또는 Steam Injection)

  • Pre-vacuum: 진공 상태에서 잔여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여 증기가 빠르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합니다.
  • 증기 주입:
    • 고온 **포화 증기 (Saturated Steam)**가 챔버 내부로 주입됩니다.
    • 증기는 약 **121℃ 또는 134℃**의 온도를 유지하며, 멸균에 필요한 압력온도를 제공합니다.
    • 증기 주입은 균일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챔버 전체에 균등한 증기 분포를 확인해야 합니다.

4️⃣ 멸균 온도 도달 및 유지 (Sterilization Phase)

  • 온도 및 압력 도달:
    • 증기가 빠르게 증발하면서 내부 온도와 압력을 빠르게 상승시킵니다.
    • **121℃**에서 약 15분, 또는 **134℃**에서 약 3~5분 정도의 시간을 설정하여 온도를 유지합니다.
  • 포화 증기는 물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통해 물체의 미생물살균합니다.
    • 이때 온도시간은 멸균의 효과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시간은 온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며, 온도-시간 관계가 정확히 맞아야 효과적인 멸균이 가능합니다.

5️⃣ 멸균 시간 유지

  •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후, 일정 시간이 유지됩니다.
    • Holding time 동안 제품은 멸균됩니다.
    • **생물학적 지시제 (BI, Biological Indicator)**를 사용하여 멸균 효율을 검증합니다. 일반적으로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라는 미생물을 사용하여 멸균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합니다.
    • 멸균 시간이 지나면 온도와 압력이 조금씩 안정화됩니다.

6️⃣ 배기 (Exhaust Phase)

  • 멸균 시간이 끝나면 배기 사이클을 시작합니다.
  • 증기배출하고, 챔버 내부를 다시 대기압으로 복귀시킵니다.
    • 증기는 외부로 배출되거나 응축기를 통해 응축되어 물로 변환됩니다.
    • 배기 과정에서 내부 기계적 배기진공 시스템이 사용됩니다.

7️⃣ 건조 (Drying Phase)

  • 건조 사이클이 필요한 경우, 이 단계에서 증기 또는 가열공기를 이용해 제품을 건조합니다.
    • 멸균 후 잔여 증기수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건조가 필요합니다.
    • 건조는 온도와 시간을 조절하여 내부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합니다.

8️⃣ 챔버 개방 및 제품 인출

  • 챔버의 도어가 열리고, 멸균이 완료된 제품을 꺼냅니다.
    • 멸균 상태에서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며, 후속 작업으로 이동합니다.

📋 중요한 점검 항목

  • 온도 및 압력 기록: 설정된 온도와 압력이 정확히 도달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시간 기록: 멸균에 필요한 시간이 충분히 유지되었는지 체크합니다.
  • 생물학적 지시제: BI를 사용하여 실제 멸균 효과를 검증합니다.
  • 온도 분포: **온도분포 시험 (Temperature Mapping)**을 통해 챔버 내 온도 균일성을 점검합니다. Cold spotHot spot을 파악하여 멸균 효과가 제대로 전달되는지 확인합니다.

📊 예시 멸균 조건

온도시간압력
121℃ 15분 2.0 bar
134℃ 3~5분 2.5~3.0 bar

Autoclave의 동작 원리는 온도와 시간, 압력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제품이 멸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각 과정마다 정밀한 제어가 필요하고, 밸리데이션이 필수적이죠!

 

 

멸균기(Autoclave)의 밸리데이션을 진행할 때 필요한 시험 장비는 매우 중요합니다. 멸균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설비가 규격에 맞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장비를 사용합니다. 각 장비는 멸균 과정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다음은 Autoclave 밸리데이션에 필요한 주요 시험 장비들입니다:


📑 Autoclave 밸리데이션에 필요한 주요 시험 장비

1️⃣ 온도 측정 장비 (Thermocouples / Data Loggers)

온도 측정 장비는 멸균기 내부의 온도 분포설정된 온도가 제대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Thermocouples (열전대):
    • K형, T형 열전대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 정확도: ±0.5°C 정도로 매우 정밀해야 합니다.
    • 사용 용도: 챔버 내 다양한 지점에서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분포를 확인하고, Hot spotCold spot을 파악합니다.
  • Data Loggers:
    • 온도 기록장치로, 온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자동 기록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할 수 있게 합니다.
    • 여러 채널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비를 사용하여 챔버 내 모든 위치에서 데이터를 기록합니다.

2️⃣ 생물학적 지시제 (Biological Indicators, BI)

생물학적 지시제는 멸균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멸균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 BI 사용 예시:
    •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고온에서 살아남는 미생물) 스포어를 포함한 BI를 사용하여 멸균효과를 측정합니다.
    • BI는 멸균기의 효과적인 스포어 사멸을 검증하기 위해 멸균 과정 후 배양하여 사멸 여부를 확인합니다.
  • Biological Indicator Readers:
    • BI의 결과를 판독하는 장비로, BI가 사멸했는지 아닌지를 빠르게 확인합니다.

3️⃣ 압력 측정 장비 (Pressure Transducer)

압력은 멸균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증기 멸균은 고온 고압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압력 센서:
    • 챔버 내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기록하는 장비입니다.
    • 측정 범위: 일반적으로 2.0~3.0 bar 정도의 압력 범위를 다루며, 멸균 과정에서 압력의 변화를 모니터링합니다.
  • Pressure Data Loggers:
    • 압력 기록 장치를 사용해 실시간으로 압력 변화를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4️⃣ 온도 분포 시험 장비 (Temperature Mapping System)

**온도 분포 시험 (Temperature Mapping)**은 챔버 내의 온도가 균일하게 분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온도 불균일로 인한 멸균 실패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자동화된 온도 분포 측정 시스템:
    • 챔버 내 여러 지점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온도 분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합니다.
    • 다수의 센서(10개 이상)를 사용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온도를 기록합니다.
    • 온도 맵을 작성하여 각 위치의 온도 차이를 확인하고, 편차가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체크합니다.

5️⃣ 수분 측정 장비 (Moisture Content Analyzer)

멸균 후 수분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를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멸균 후 건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Moisture Analyzer:
    • 수분 측정을 통해 멸균 후 제품이 얼마나 건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멸균 과정에서 잔여 수분이 남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수분 함량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6️⃣ 시각적 검사 도구 (Visual Inspection Tools)

멸균 후, 제품 외관에 변형이나 손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장비입니다.

  • 시각 검사 장비:
    • 멸균 후 앰플, 바이알 등의 외관을 검사하여 균열이나 변형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 검사 스테이션에는 광원확대기를 사용하여 정밀 검사를 진행합니다.

7️⃣ 압력, 온도 및 시간 기록 장치 (Cycle Recorders)

  • Cycle Recorders:
    • 압력, 온도, 시간을 기록하여 멸균 과정 동안 설정 값이 정확하게 유지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주로 자동 기록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이후 추적 가능하게 만듭니다.

8️⃣ 교정 장비 (Calibration Tools)

  • Thermometer Calibration:
    • 온도 측정 장비가 정확하게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표준 온도계로 교정합니다.
  • 압력 센서 교정:
    • 압력 센서가 정확하게 작동하는지 교정하고, 교정 증명서를 확인합니다.

📌 요약

  • Thermocouples / Data Loggers: 온도 측정 및 기록
  • Biological Indicators (BI): 멸균 효과 검증
  • Pressure Transducer: 압력 측정
  • Temperature Mapping System: 온도 분포 시험
  • Moisture Content Analyzer: 수분 측정
  • Visual Inspection Tools: 외관 검사
  • Cycle Recorders: 압력, 온도, 시간 기록
  • Calibration Tools: 장비 교정

이 모든 장비는 Autoclave 밸리데이션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핵심 도구들이며, 각 단계에서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멸균 과정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Autoclave SIP Sequence

1️⃣ Initial Purge (초기 배기)

  • 목적: 시스템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증기 주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 과정:
    • 증기 또는 고온수자동 배기 시스템을 통해 챔버에 주입하여 잔여 공기를 배출합니다.
    • 이 단계에서 공기와 증기의 혼합이 이루어져 균일한 증기가 전체 시스템에 퍼지도록 합니다.

2️⃣ Pre-Vacuum (예비 진공)

  • 목적: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여 증기가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만듭니다.
  • 과정:
    • 챔버 내부의 공기를 진공 펌프를 통해 제거합니다.
    • 이 단계에서 2~3번의 진공 사이클을 반복하여 챔버 내 공기를 완전히 제거합니다.
    • 진공 상태에서 증기가 빠르고 고르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합니다.

3️⃣ Sterilization Phase (멸균 단계)

  • 목적: 증기를 사용하여 실제 멸균을 진행합니다.
  • 과정:
    • 챔버 내부에 **포화증기(Saturated Steam)**를 주입하여, 설정된 온도압력에 도달하도록 합니다.
    • 이 단계에서 온도는 보통 **121℃**에서 15분, 또는 **134℃**에서 3~5분 사이로 설정됩니다.
    • 설정된 온도와 압력이 일정 시간 유지되면 멸균이 완료됩니다.
    • **생물학적 지시제(BI)**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멸균 효과를 확인합니다.

4️⃣ Exhaust Phase (배기 단계)

  • 목적: 증기를 배출하여 챔버 내부를 대기압으로 복귀시킵니다.
  • 과정:
    • 고온 증기배출하고, 챔버 내 압력을 낮춥니다.
    • 이때 증기 배출 시스템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거나 응축을 통해 물로 변환합니다.
    • 챔버 내부의 온도와 압력이 다시 대기압으로 돌아오도록 합니다.

5️⃣ Drying Phase (건조 단계)

  • 목적: 멸균 후 잔여 수분을 제거하여 제품을 건조시킵니다.
  • 과정:
    • 멸균 후 건조기를 통해 챔버 내부의 수분을 제거합니다.
    • 가열된 공기증기를 사용하여 잔여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키고, 제품의 건조 상태를 보장합니다.

6️⃣ Cycle End (사이클 종료)

  • 목적: SIP 사이클이 완료된 후, 시스템을 종료하고 결과를 기록합니다.
  • 과정:
    • 제어 시스템SIP 사이클이 종료되었음을 표시합니다.
    • 멸균 결과가 자동 기록되며, 이를 통해 검증이 가능합니다.
    • 제품을 챔버에서 꺼내고 후속 작업을 진행합니다.

📌 SIP 과정의 주요 변수

SIP 과정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서는 온도, 압력, 시간의 정확한 제어가 필요합니다. 각 변수는 멸균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절히 모니터링하고 조정해야 합니다.

  1. 온도 (Temperature):
    • 설정된 온도에 도달해야 하며, 너무 낮거나 너무 높은 온도는 멸균 실패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포화증기의 온도는 보통 121~134℃ 범위입니다.
  2. 압력 (Pressure):
    • 고압 상태에서 증기가 효과적으로 제품과 접촉하여 멸균을 완료해야 합니다.
    • 보통 2.0~3.0 bar의 압력이 설정됩니다.
  3. 시간 (Time):
    • 설정된 온도에서 멸균을 유지해야 하는 시간(보통 15~30분)은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4. Biological Indicators (BI):
    • 멸균이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한 미생물 지시제입니다. 주로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스포어를 사용하여 멸균 효과를 평가합니다.

📊 SIP Sequence 예시

단계설명시간온도압력
1. 초기 배기 (Initial Purge) 공기 제거 및 증기 순환 약 1분 - -
2. 예비 진공 (Pre-Vacuum) 공기 제거 및 진공 상태 형성 2~3회 반복 - -
3. 멸균 (Sterilization Phase) 증기 주입 및 멸균 15~30분 121℃~134℃ 2~3 bar
4. 배기 (Exhaust Phase) 증기 배출 및 대기압 복귀 약 5분 - -
5. 건조 (Drying Phase) 잔여 수분 제거 약 5~10분 - -
6. 사이클 종료 (Cycle End) 멸균 종료 및 결과 기록 - - -

SIP 사이클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효율적으로 관리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설비나 제품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멸균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과정마다 필요한 모니터링 및 기록을 통해 규정 준수품질 보증이 이루어집니다.

 

 

SIP Sequence를 미쓰비시 GX Works2에서 사용할 수 있는 PLC Ladder 프로그램으로 그리는 것은 꽤 구체적인 작업입니다. 이를 통해 Sterilization In Place (SIP) 과정의 각 단계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GX Works2에서는 Ladder Logic을 사용하여 다양한 단계의 온도, 압력, 시간 제어 및 진공 상태를 관리합니다.

SIP Sequence의 Ladder Diagram을 작성하는 과정은 기본적인 순서제어 변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각 단계는 PLC가 제어하는 입력/출력 장치(센서, 밸브, 펌프 등)를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다음은 SIP Sequence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주요 PLC Ladder Logic 흐름과 각 단계별 제어입니다. 이를 통해 SIP 과정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SIP Sequence PLC Ladder 흐름

1단계: 초기 배기 (Initial Purge)

  • 목표: 공기를 제거하고 증기가 잘 순환할 수 있도록 준비.
  • 제어: 공기 배출 밸브를 열고 증기 주입 밸브를 작동시킴.

Ladder Logic:

 

|----[ Start 버튼 ]----+----(공기 배출 밸브 오픈)----+----(증기 주입 밸브 오픈)----|
                       |
                       +----(타이머: 1분 설정)---------+

 

2단계: 예비 진공 (Pre-Vacuum)

  • 목표: 공기 제거 및 진공 상태 형성.
  • 제어: 진공 펌프 작동, 주입 및 배기 순차적으로 진행.

Ladder Logic:

|----[ 공기 배출 완료 신호 ]----+----(진공 펌프 작동)----|
                                |
                                +----[ 타이머: 2분 ]------+

 

 

3단계: 멸균 (Sterilization Phase)

  • 목표: 증기를 주입하여 멸균을 완료.
  • 제어: 증기 주입, 설정된 온도와 압력으로 유지.

Ladder Logic:

|----[ 예비 진공 완료 신호 ]----+----(증기 주입 밸브 오픈)----+----(온도 센서 체크)----|
                                 |                           |
                                 +----[ 타이머: 15분 ]------+

 

 

4단계: 배기 (Exhaust Phase)

  • 목표: 증기를 배출하여 대기압으로 복귀.
  • 제어: 증기 배출 밸브를 열어 압력을 정상화.

Ladder Logic:

|----[ 멸균 완료 신호 ]----+----(증기 배출 밸브 오픈)----+----(타이머: 5분 설정)----|

 

 

5단계: 건조 (Drying Phase)

  • 목표: 멸균 후 잔여 수분 제거.
  • 제어: 건조 시스템 작동 (히터 또는 공기 펌프 사용).

Ladder Logic:

|----[ 배기 완료 신호 ]----+----(건조기 작동)----+----(타이머: 5분 설정)----|

 

 

6단계: 사이클 종료 (Cycle End)

  • 목표: SIP 과정 완료 및 결과 기록.
  • 제어: 전체 과정 종료 후, 시스템 상태 기록 및 종료 신호.

Ladder Logic:

|----[ 건조 완료 신호 ]----+----(사이클 종료 표시등)----+----(사이클 종료 신호)----|

 

 

2. 전체 SIP Sequence Ladder Flow (통합)

이제 전체 SIP Sequence가 통합된 PLC Ladder Logic 프로그램을 그리면 아래와 같은 흐름을 가질 수 있습니다.

|----[ Start 버튼 ]----+----(공기 배출 밸브 오픈)----+----(증기 주입 밸브 오픈)----+----[타이머 1분]----|
                       |                                         |
                       +----[ 공기 배출 완료 신호 ]--------------+
                       |                                         |
                       +----[ 타이머 2분 ]-----------------------+
                       |
                       +----[ 진공 펌프 작동 ]-------------------+

|----[ 진공 완료 신호 ]----+----(증기 주입 밸브 오픈)----+----[ 온도 센서 확인 ]----+----[타이머 15분]----|
                       |                                           |
                       +----[ 증기 주입 완료 신호 ]-----------------+

|----[ 멸균 완료 신호 ]----+----(증기 배출 밸브 오픈)----+----[타이머 5분]----|
                       |
                       +----[ 증기 배출 완료 신호 ]-----------------+

|----[ 배기 완료 신호 ]----+----(건조기 작동)----+----[타이머 5분]----|

|----[ 건조 완료 신호 ]----+----(사이클 종료 신호)----+----[ 사이클 종료 표시등 ]----|

 

 

3. PLC 입출력 (I/O)

다음은 SIP Sequence에 필요한 입력/출력 I/O 목록입니다:

입력 (Inputs):

  1. Start 버튼
  2. 공기 배출 완료 신호
  3. 진공 펌프 완료 신호
  4. 증기 주입 완료 신호
  5. 온도 센서
  6. 멸균 완료 신호
  7. 배기 완료 신호
  8. 건조 완료 신호

출력 (Outputs):

  1. 공기 배출 밸브
  2. 증기 주입 밸브
  3. 진공 펌프
  4. 온도 제어 밸브
  5. 증기 배출 밸브
  6. 건조기
  7. 사이클 종료 신호 및 표시등

F0 값은 멸균 공정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멸균 효과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F0멸균 시간온도와 함께 고려하여 멸균된 제품의 미생물 제거 효율을 측정하는 값입니다. 이 값은 멸균 과정의 안전성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고온 멸균 (예: 증기 멸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F0 값의 정의

F0 값멸균 공정에서의 시간-온도 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멸균을 완료한 후 살아남을 수 있는 미생물의 수를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F0는 특정 온도에서 미생물을 죽이는 데 걸리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멸균 효과를 비교합니다. 보통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같은 고온에 강한 미생물의 사멸 속도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F0 값의 계산

F0 값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 T: 해당 시간 동안의 온도(°C)
  • T₀: 기준 온도(일반적으로 121°C 또는 134°C)
  • z 값: 미생물의 열 저항 지수 (일반적으로 10°C)
  • t: 시간 (분 단위)

F0 값은 온도가 121°C일 때의 멸균 효과와 비교하기 위해 T₀를 121°C로 설정하여 각 시간에 따른 온도의 차이를 평가합니다. 즉, F0 값은 특정 온도에서의 멸균 시간을 기준 온도에서의 멸균 시간으로 환산하는 방식입니다.

F0 값의 해석

  • F0 값이 높을수록 해당 멸균 공정이 더 강력하고 미생물을 죽이는 효과가 크다는 의미입니다.
  • 일반적으로, F0 값이 10 이상이면 멸균 공정이 제대로 이루어진 것으로 간주됩니다.
  • F0 값이 0.5 이하일 경우, 멸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제품이 미생물에 오염될 위험이 있다는 경고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F0 값과 멸균 공정

F0 값을 통해 멸균 시간온도의 관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도가 높을수록 멸균 시간이 짧아지므로, F0 값 계산을 통해 적정 시간온도를 설정하여 효율적인 멸균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예시:

  1. 온도 121°C에서 15분 동안 멸균:
    • 이 경우, F0 값은 기준 온도 121°C에서 15분 동안 멸균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2. 온도 134°C에서 멸균:
    • 높은 온도에서는 멸균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나므로, 동일한 F0 값을 달성하려면 시간이 짧을 수 있습니다.

멸균 공정에서의 F0 값 활용

  • 위험한 미생물이 존재하는 제약 공정에서는 F0 값을 정확하게 계산하고 모니터링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멸균을 보장합니다.
  • F0 값을 통해 각 멸균 주기의 적정 시간을 결정하고, 멸균 장비(Autoclave)의 성능을 검증하는 데 사용됩니다.

결론

F0 값은 멸균 공정에서 효율적인 미생물 제거를 보장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온도시간을 기반으로 한 계산을 통해, 멸균 공정이 적절히 수행되었는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 값은 멸균이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고, 적절한 멸균 조건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http://www.gmpcat.com

 

지캣 GMP 컨설팅 및 밸리데이션

 

www.gmpcat.com

 

 

728x90
반응형